** 자바의 기본형(primitive) 변수 종류
: 논리형, 문자형, 숫자형
** 변수의 선언
: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에 변수의 타입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공간을 미리 확보
타입 변수명; ----> 이러한 형태로 변수선언을 진행
ex) int number;
** 변수의 명명규칙
1. 영어 대소문자로 구분하며 길이 제한이 없다.
2. 예약어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하면 안된다.( ex. boolean. false, true 등)
3.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,
4. 이름에 공백이 들어갈 수 없다.
5. 특수문자는 ' _ '와 '$'만 허용된다.
6. 변수명은 소문자로 작성한다. 여러 단어를 합쳐서 이름을 만들 때는 단어의 첫 글자를
대문자로 사용하게 되는데 단, 첫번째 단어는 소문자로 작성한다 -> CamelCase표기법 *
(에러가 나는 표기법이 아니지만 개발자들 간의 약속이다.)
ex) fileWriter, selectBookList
** 자바의 기본형 타입
-- 숫자형
byte / short / int /l ong
-- 실수형
float / double
-- 문자형
char
-- 논리형
boolean
long lnum ;
lnum = 22000000000 L; -> 이 때 L을 꼭 붙여줘야 할 때 사용 !
(왜 long을 쓰냐면 int는 최대 받을 수 있는 범위가 22억이다, 22억 이후의 수는 받을 수 없어 long사용)
char ch; // 변수 선언
ch = 'A'; // 변수초기화 작업
** 문자열 참조형 타입
String 참조형 타입이지만 많이 사용되는만큼 기본자료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.
(즉, 다른 참조형 타입과 사용법이 다르다.)
- 기본 자료형처럼 사용한다 -> 리터럴을 사용해서 값을 넣을 수 있도록 만들어짐
- 차이점 : 다른 기본형 타입은 시작이 소문자이지만 참조형 타입은 대문자로 시작한다,
- 참조형타입 : 사용자 정의 타입 -> 우리도 새로운 타입을 만들 수 있고, 자바에도 이미 많이 만들어져 있음
- 기본형타입 :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타입(?)이라고 볼 수 있음
- 기본형타입은 타입에 따라 메모리의 크기가 정해져 있지만 ,
참조형 타입은 타입에 따라 메모리의 크기가 정해져있지 않다.
'BackEnd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] 상수 테스트 / 오버플로우 테스트 (0) | 2020.11.11 |
---|---|
JAVA ] 변수값 변경 테스트 (0) | 2020.11.10 |
JAVA 기본적인 코드 다루기 (0) | 2020.11.10 |
IO_OutputStreamWriter & InputStreamReader (0) | 2020.11.10 |
IO_FileWriter & FileReader (0) | 2020.11.10 |
댓글